
의외로 모르는 퇴직금 제도 및 IRP 개념 정리(IRP란) 퇴직하며 겪은 경험을 공유하려고 시작했던 포스팅들인데 의외로 IRP 및 관련 내용들을 모르는 분들이 많아 보였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퇴직금제도와 IRP 관련 내용들의 큰 틀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퇴직금 제도 및 퇴직금연금 제도 정리를 위해 찾아본 바, 현재의 퇴직금 시스템은 (구)퇴직금 제도에서 (신)퇴직금연금 제도로 넘어가려는 과도기에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구)퇴직금 제도는 ① 퇴직급여를 전적으로 회사에 의존해야 한다.(퇴직급여 수급권) →퇴직 시기에 회사가 지불할 능력이 부족하거나 도산한 경우 심각한 문제 ② 한 번에 목돈으로만 받을 수 있기에 잘못해서 날려버리면 순식간에 날려 먹는다.(노후 보장의 불완전성) 의 ..

IRP(개인형 퇴직연금제도) 의무화 기존에는 퇴직연금 가입 사업자의 경우에만 퇴직급여를 개인형 퇴직 연금제도(IRP) 계좌로 지급하도록 하였는데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개정안' 시행에 의해 2022년 4월 14일부터 퇴직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근로자도 55세 이전에 퇴직이나 이직을 할 경우 퇴직금을 IRP로 의무 이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IRP계좌를 개설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는데요, 직접 개설해보며 확인한 내용 및 중요 포인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RP계좌 의무화 취지 (=장점) IRP 계좌의 의무화의 취지는 고용노동부에서 배포한 시행령 설명 자료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급여통장 등으로 받으면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내용을 주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